전체 글 9

제주 한 달 살기 도전! 예산부터 숙소까지 A to Z 완벽 가이드 🏝️

바쁘게 돌아가는 도시를 벗어나, 한 달 동안 제주에서 살며 자연과 함께하는 시간을 꿈꾸고 있나요? 제주 한 달 살기는 단순한 여행이 아니라, 진짜 제주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입니다. 제주에서 머무는 동안 필요한 예산부터 숙소, 교통, 맛집, 즐길 거리, 생활 편의시설까지! 한 달 살기를 위한 완벽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 1. 제주 한 달 살기 예상 비용제주에서 한 달 살기를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할까요?항목 평균 비용 (월) 비고숙소80만~150만원지역 & 숙소 유형에 따라 차이렌터카50만~100만원전기차 장기 렌트 추천식비40만~60만원외식 vs 자취 여부에 따라 달라짐기타 생활비10만~30만원카페, 액티비티 포함총합180만~350만원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변동💡 TIP:..

봉준호표 SF, '미키 17' –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하다!

봉준호 감독의 SF 신작, '미키 17' 리뷰봉준호 감독의 신작 '미키 17'은 또 한 번 영화 팬들에게 놀라운 즐거움을 선사한다. 하지만, '기생충'의 충격적인 반전을 기대했다면, 이번 영화에서의 즐거움은 조금 다른 방식으로 다가올 것이다.🎬 가장 인상 깊은 장면: 1인 2역의 마법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는 미키 17과 미키 18이 동시에 등장하는 순간이다. 한 배우가 두 개의 역할을 연기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은 두 캐릭터를 완전히 다른 인물로 느끼게 된다. 이는 단순히 음성 톤의 차이 때문이 아니다. 표정, 태도, 몸짓 등에서 미묘한 차이를 두어 철저하게 구분되는 캐릭터를 만들어낸 로버트 패틴슨의 연기는 감탄을 자아낸다. 🎭 캐릭터의 조화와 디테일'미키 17'의..

로컬처럼 즐기는 서울: 꼭 가봐야 할 핫플 10곳 & 예산 가이드

📌 서울 로컬들이 자주 가는 핫플레이스 10 & 예상 비용👉 현지 분위기를 느끼고 싶다면? 한국 로컬들이 자주 찾는 트렌디한 핫플레이스를 추천해요!👉 대략적인 예산 포함(1인 기준, 교통비 제외)  1. 성수동 (Seongsu-dong) – 서울의 브루클린 🏙️☕🔹 트렌디한 감성을 가진 카페와 패션 편집숍, 힙한 갤러리들이 많아요.🔹 추천 명소: 대림창고, 카페 노르웨이숲, 루프탑 바 ‘포레스트’💰 예산:✔️ 카페 & 디저트: 8,00015,000원✔️ 편집숍 쇼핑: 30,000원 (선택 사항)📍 지하철 2호선 성수역2. 망리단길 (Mangwon-dong) – 힙스터들의 아지트 🍽️🏡🔹 유명한 망원시장에서 길거리 음식을 맛보고, 감성적인 카페 투어까지!🔹 추천 명소: 망원시장, 어쩌..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 김영랑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가치 풀아래 우슴짓는 샘물가치 내마음 고요히 고흔 봄길우에 오날하로 하늘을 우러르고 십다. 새악시볼에 떠오는 붓그럼가치 詩의 가슴을 살포시 젓는 물결가치 보드레한 에메랄드 얇게 흐르는 실비단 하늘을 바라보고 십다.  - 김영랑 ('영랑시집(1935)'에서 발췌)  옛날 한글 단어들이라서 조금 어렵죠. 아래 다시 요즘 단어로 바꿔보면,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풀 아래 웃음 짓는 샘물같이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새색시 볼에 떠오는 부끄럼같이시의 가슴을 살포시 젓는 물결같이보드라운 에메랄드 얇게 흐르는 실비단 하늘을 바라보고 싶다.   좋은 말, 좋은 글, 함께 해요~ 2025. 3. 5. 네오에이지

쿨재팬, 공자학원 그리고 한류

세계에 자신들의 문화를 전파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각국에는 문화 정책이 있다. 일본에는 '쿨재팬(Cool Japan)' 정책이 있고, 중국에는 '문화굴기, 공자학원' 정책이 있다.   쿨재팬은, 한류 현상을 보고 자극받은 일본의 정부관료가 2010년 만들어낸 정책이다. 문화굴기-공자학원은, 이 또한 한류 현상을 보고 자극받은 중국정부가 2004년 만들어낸 정책이다.  '한류 현상을 보고 자극받은'이라는 말에 거부감이 있겠지만, 이는 역사적 사실이다.  현재는 어떨까?쿨재팬은 실패한 정책으로 낙인 되어 예산 삭감이 되었고, 공자학원은 안티-차이나 바람과 함께 전 세계에서 퇴출되어 가는 경향에 있다.  지난날 일본은 왜 '한류' 현상을 '국책 사업의 결과'라고 우겼을까? 일본 정부관료는 국책을 추진할 명분이 ..

한류는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됐을까?

챗GPT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앱들에서는한류의 시작을 1990년대 중반부터로 대답한다.  챗gpt는 1997년 '사랑이 뭐길래'의 중국에서의 성공이 그 시작이라고 하는데, 아마도 이것은 2021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채지영의 "특집:한류와 아시아(1) 한류 20년, 성과와 미래 전략"이라는 글이 백데이터가 된 것이라 추정된다.  현존하는 모든 인공지능은 기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생성형 인공지능인 chatGPT 역시 마찬가지이다.  챗gpt가 이렇게 멍청하기는 하지만,아직까지는 챗gpt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가 생성형 AI에 의한 글이 인터넷에 유입되기 이전의 데이터이기 때문에일반적 인간 인식의 평균값이라는 점에서 유의미성을 갖는다.  일반인 입장에서 '한류(hallyu)'의 근원을 몇 년 몇 월 ..

챗GPT 시대의 블로깅과 글쓰기

우리 사회가 예전 625세대처럼 사회생활 30년 하고 일생이 끝나는 시대가 아니다. 만약 이 글을 30-40대가 보고 있다면, 그대들은 사회생활의 끝머리에 있는 것이 아닌 머리끝에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그대들이 살아갈 21세기의 인류 사회에 걸맞은 생각일 것이다. 그대들에게는 조금 더 성숙해질 수 있는 시간이 기다리고 있다.  내 필력이 지금의 젊은 세대에도 부합하길 바란다. 최대한 노력할 것이다. 이 노력은 나이 듦을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현대를 사는 인간에게 도움이 되지 않거나 재미없는 콘텐츠를 만드는데아까운 내 시간을 허비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여기까지 읽은 분들은 눈치채셨겠지만, 내 글의 장르는 진지한 편에 속한다. 그래서 자극적이지 않고 그런 면에서 재미없다. 하지만 뭔지 모르게 재..

my Stories 2025.03.03

새로 쓰는 '한류 평론'에 대한 서문

이제 내게 자유의 시간이 찾아왔다. 아쉽지만, 지난 시절의 내 한류 콘텐츠가 카카오와 다음넷이 합병하고 이어서 티스토리를 합병하면서 기존의 다음 블로그를 완전히 날려버렸다. 국민포털이라고 믿고 있었던 다음넷도 결국은 사기업일 뿐이다. 잠시 쉬는 동안 내 지난 블로그가 통째로 날아갔다. 백업의 기간이 재작년부터 작년까지 주어졌다고 했는데 그 기간 동안바쁜 개인사정으로 공지를 보지 못했고 접속도 못했었다. 갑자기 집에 불이 나서 내 일기장도 그 불과 함께 세상에서 없어진 기분이다.  내가 변하는 사이 세상도 뒤집어졌다. 한류라는 말이 생기기 전부터 한국문화의 부흥을 외쳤던 지난 시절에 그토록 원하는 한국문화 부흥기가 찾아왔다. 그 당시, 불란서(프랑스)에서 바라본 동양에는 중국과 일본은 있었어도 한국은 없었..

my Stories 2025.03.03

블로그를 시작하며

새로이 블로그를 시작한다. 그동안 많은 것이 바뀌었다.이전의 시대와 지금은 서로 다른 세상처럼 느껴진다.마찬가지로 지금의 내가 예전의 나인지 확신이 없다. 예전의 블로그가 몽땅 다 날라갔다. 다음넷의 블로그는 영구적이지 않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너무 신뢰가 없다. 왜냐하면 불과 20년도 지나지 않아서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 티스토리 블로그는 조금은 더 지속되기를 바란다. 무의미하게 없어지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이다. 예전에 이어서 한류에 대한 서평을 하려고 한다. 그리고 새로운 흥미로운 주제도 있다. 인공지능이 몇 초만에 글 써주는 시대 속에서 이렇게 순수하게 시간을 들여 인간이 글을 쓰는 것이 얼마나 경쟁력이 있을 것인가에 대한 작은 실험실이 이 블로그이다. 그리고약간의 수익창출 모델에 대한 시도..

my Stories 2025.03.01